동양철학에세이 공자2

An_SW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사람다운 사람[편집 | 원본 편집]

  • 공자의 중심사상, 인(仁)

○ <<논어>>에서 인이라는 글자가 106번이나 나옴
○ 인(仁)의 의미
- '어질다'
- 서양에서는 benevolence (자비심, 인정, 박애)로 번역하기도 함
=> 하지만 이 둘 모두 공자가 말한 의미를 다 담아내지 못함


  • 공자의 인이 가지는 철학사적 의미

○ 자연, 귀신에 대한 관심에서 문제의 중심을 인간으로 돌려놓았음
○ 공자 이전, 하늘, 신, 귀신에게 모든 일을 점쳤던 흔적
골복1.jpg

골복2.jpg

 ☞질문: 이게 무슨 흔적인 것 같나요?

골복3.png

골복(骨卜)
- 모든 일에 점을 쳤던 시대인 은나라 때의 점문화. 동물의 뼈나 등 껍데기 등을 추출하여 깨끗이 씻어 불에 구워 그것이 파열되게 만듦. 파열하여 나타난 변화와 흔적을 징조로 삼아 길흉을 판단했음
- 소의 어깨뼈, 사슴 어깨뼈 등 있었으며 구멍을 뚫고 불에 구운 흔적이 남아 있음


갑골1.png

귀복(龜卜)
- 귀복은 주로 은나라 때 사용되었음
- 거북의 배 부분의 껍데기, 때로는 등껍질을 사용했음. 귀갑에 구멍을 파고 다시 불에 구운 후 껍데기의 균열 흔적에 근거하여 해석하는 것임
- 복(卜)이라는 본래 뜻은 뼈 위에 나타난 균열된 무늬를 말하는 것으로, 이를 징조로 삼아 길흉을 점쳤음
(정병석, 『점에서 철학으로』, 동과서, 2014)


갑골문.png

갑골문
- 은나라의 수도였던 은허에서 발견된 문자
- 한자의 원형이 되는 문자
- 거북이 배껍질, 등껍질(甲)과 짐승의 견갑골(骨)에 새겨진 문자
- 신과 소통했던 점친 기록이 담겨져 있음


이전 신, 하늘, 귀신에 의지했던 문화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공자

 어느 날 자로가 공자에게 물었다.
 "죽음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삶도 아직 다 모르는데 어찌 죽음을 말하겠느냐?"
 자로가 다시 물었다.
 "귀신 섬기는 법을 말씀해 주십시오."
 "사람도 다 못 섬기는데 어찌 귀신을 말하겠느냐?"

☞ 이 대화를 통해 공자의 관심이 귀신이 아니라 사람에, 사람에서도 죽음이 아니라 삶에 있었음을 알 수 있음


인본(人本)주의자인 공자가 중시한 인(仁)
- 인(仁)은 두 이(二) 자와 사람 인(人)자를 합해 놓은 것으로, 두 사람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말임
- 사서 중 하나인 <<중용>>, <<맹자>>에서는 인을 '사람다움'으로 풀었음
- 공자의 관심은 어떻게 사는 것이 사람다움을 실현하는 길[도(道)]인가를 밝히는 데 있었음


공자가 말한 사람의 4가지 등급

소인
  - 이로우냐 해로우냐를 따지는 데 밝은 사람
  - 남들과 같아지는 일은 잘하지만 남들과 어울리지는 못하는 사람
  - 누구라도 그 사람을 대신할 수 있는 사람(주체를 잃고 남에게 얽매인 사람)


군자
  - 옳으냐 그르냐를 따지는 데 밝은 사람
  - 남들과 잘 어울리되 같아지지는 않는 사람(남과 같다면 자신의 존재 의미는 없어질 수 있음)
  - 자신의 역할을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사람
  - 군자는 다스리는 계층, 군주의 자식, 지배계층을 의미했으나 공자는 군자의 의미를 지배 계층이 아니라 덕을 쌓은 사람으로 바꾸어 놓았음
☞질문: 왜 소인은 대체 가능하고 군자는 대체 불가능할까?
☞질문: 다음 두 가지 종류의 사람 중에 어떤 사람이 더 흔하고 어떤 사람이 더 귀할까?
A B
자신이 손해보는 걸 싫어하는 사람 자신에게 손해가 오더라도 옳은 것을 옳다고 하는 사람
문제가 생기면 남탓하는 사람 문제가 생기면 자신이 무엇을 놓쳤는지, 잘못했는지 생각하는 사람
남은 좋은 점을 보면 부러워하거나 질투하고 남이 나쁜 일을 하더라도 상관하지 않는 사람 남의 좋은 점을 발굴하고 칭찬하며 남이 나쁜 일 하는 것을 말리는 사람
눈치를 보며 다수의 의견, 영향력 있는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는 사람 사람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두루두루 잘 지내면서도 자기 생각을 분명하게 가지고 있는 사람
상황이 좋지 않고 곤궁해지면 그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뭐든 하려는 사람 상황이 좋지 않고 곤궁하더라도 상황이 좋았을 때와 똑같이 한결같은 모습으로 평화롭고 여유있는 사람
☞질문: 여기에서 A, B는 각각 누구일까?


=> A는 소인, B는 군자

☞질문: 근데 왜 이게 중요할까? 군자적 삶은 단지 사회와 다른 사람들에게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까? 군자의 삶은 손해보는 삶일까?

위기소인.png

위기군자.png


인한 사람[사람다운 사람(인인(仁人)]
  - 남을 좋아하거나 미워하더라도 치우치지 않을 수 있는 사람
   "오직 사람다운 사람만이 정말 남을 좋아할 수도 있고 남을 미워할 수도 있다."
  - 아니라고 해야 할 자리면 아니라고 하는 사람
   "사람다운 사람은 맞설 자가 없다[인자무적(仁者無敵)]"
   "사람다움을 실천하는 일에서는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말라."


성인(聖人)
☞질문: 성인이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
- 성인이란 현실을 떠나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를 향한 큰 실천에서 나오는 것임 "만일 백성들에게 널리 베풀어서 모든 사람을 구제할 수 있다면 사람다운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어찌 사람답다고만 할 수 있겠느냐. 반드시 성인의 경지일 것이다. 요순도 오히려 그렇지 못할까봐 항상 근심했다."


◁◁ 이전 공자 이야기로 이동 클릭!
▷▷ 다음 공자 이야기로 이동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