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수업소개
한국 땅에서 살아가면서 우리는 가끔 '나'라는 사람의 정체성, 내가 배우고 익혀온 문화, 교육, 철학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됩니다. 만일 외국의 누군가가 한국문화, 한국철학에 대해 묻는다면 뭐라고 설명해 줄 것인가요? 철학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누군가 한국철학의 특징에 대해 묻는다는 뭐라고 답변할 수 있을까요?
이 수업에서는 한국철학의 특징에 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글들을 읽고 한국철학에 대해 나름의 생각을 갖는 시간을 가져 보고자 합니다.
수업주제
- 한국철학이란?
- 한국철학의 근원: 단군신화
1. 단군신화를 읽기 전에
- 하늘과 사람이 하나이다: 목은 이색(1328~1396)의 목은집
- 조선 유학자의 공부: 퇴계 이황(1501~1570)의 자성록
- 죽음에 대한 치열한 성찰의 결과: 율곡 이이(1537~1584)의 사생귀신책(死生鬼神策)
- 감정으로 풀어낸 한국적 주역: 성이심(1682~1739)의 인역(人易)
- 조선의 법과 정의: 다산 정약용(1762~1836)의 흠흠신서
- 구한 말 조선 유학생이 기록한 서양: 유길준(1856~1914)의 서유견문
- 근대 한국 학자의 동서철학 종합: 전병훈(1857~1927)의 정신철학통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