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수업소개[편집 | 원본 편집]
한국 땅에서 살아가면서 우리는 가끔 '나'라는 사람의 정체성, 내가 배우고 익혀온 문화, 교육, 철학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됩니다. 만일 외국의 누군가가 한국문화, 한국철학에 대해 묻는다면 뭐라고 설명해 줄 것인가요? 철학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누군가 한국철학의 특징에 대해 묻는다는 뭐라고 답변할 수 있을까요?
이 수업에서는 한국철학의 특징에 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글들을 읽고 한국철학에 대해 나름의 생각을 갖는 시간을 가져 보고자 합니다.
수업주제[편집 | 원본 편집]
- 한국철학이란?
- 한국철학의 근원: 단군신화
- 하늘과 사람이 하나이다: 목은 이색(1328~1396)의 <<목은문고>>
- 조선 유학자의 공부: 퇴계 이황(1501~1570)의 자성록
- 삶과 죽음에 대한 치열한 성찰의 결과: 율곡 이이(1537~1584)의 사생귀신책(死生鬼神策)
- 감정으로 풀어낸 한국적 주역: 성이심(1682~1739)의 인역(人易)
- 조선의 법과 정의: 다산 정약용(1762~1836)의 <<흠흠신서>>
- 구한 말 조선 유학생이 기록한 서양: 유길준(1856~1914)의 <<서유견문>>
- 근대 한국 학자의 동서철학 종합: 전병훈(1857~1927)의 <<정신철학통편>>